본문 바로가기
금융 및 경제

소득세 계산법, 소득세율표 총정리!

by 생생 꿀팁맨 2023. 4. 5.

목차

     

    소득세 계산

    안녕하세요, 갑자기 찾아온 비에 온도가 급격히 낮아져 감기에 걸릴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건강에 유의하시길 바라며, 오늘은 소득세의 정의와 계산법, 소득세율표는 어떤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소득세란?

    소득세란 소득에 대하여 매기는 세금으로 이때의 소득이란 일정 기간 재화 또는 용역을 제공하여 얻은 수입에서 이에 대응하는 필요경비를 공제한 금액을 말합니다. 소득세란 개인과 법인으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개인소득세를 소득세라고 하며 법인 소득세의 경우 법인세라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소득세는 개인을 중심으로 모든 소득을 종합하고 여기에 개인의 인적 사정, 즉 배우자, 부양가족 또는 가족 중에 장애인의 유무 등에 따라 같은 금액의 소득자라고 하더라도 세 부담을 달리하게 하는 인적공제 제도와 특별공제 제도를 채택한 종합소득세 제도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2. 근로소득간이세액표

    1) 개요

    원천징수의무자는 근로자에게 매월 급여(상여금 포함)를 지급할 때 근로소득간이세액표(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매월 급여를 지급하는 때에 원천징수 해야 하는 세액을 급여 수준 및 공제 대상 가족수별로 정한 표)에 따라 소득세를 원천징수 하여 납부해야 합니다. 다만, 잉여금처분에 의한 상여는 그 상여 등의 금액에 소득세법 제55조에 의한 기본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하게 됩니다.

    반응형

    2) 맞춤형 원천징수제도

    근로자는 간이세액표에 따른 세액의 비율(80%, 100%, 120%)을 선택할 수 있으며 원천징수의무자에 소득세 원천징수 세액 조정 신청서를 제출하거나 소득 세액공제 신고서에 해당 비율을 기재하여 제출하면 되며 선택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100%이며 원천징수 비율을 변경한 경우 과세기간 종료일까지는 계속 적용됩니다.

     

    3) 근로소득간이세액표 이용

    2023년 2월 28일 이후 원천징수 하는 부분부터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조정 및 총급여 1억 2,000만 원 초과자에 대한 근로소득 간이세액공제 한도 축소 및 자녀 세액공제 기준 조정(7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 수 -> 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수) 에 따라 간이세액표가 개정되었습니다.

     

    4) 상여 등을 지급한 경우 다음 방법에 의해 원천징수 세액을

    5) 지급 대상 기간 계산 시 유의 사항

    - 지급 대상 기간의 마지막 달이 아닌 달에 지급되는 상여 등은 지급 대상 기간이 없는 상여로 계산
    - 지급 대상 기간이 서로 다른 상여 등을 같은 달에 지급하는 경우

     

    3. 소득세율표

    4. 소득세 계산법

    먼저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야 되며, 이미지 클릭 시 홈택스 홈페이지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페이지로 접속하게 됩니다.

    월급여액은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금액이며 전체 공제 대상 가족 수는 기본공제 대상자(본인 포함)에 해당하는 부양가족의 수를 기재하시면 되며 전체 공제 대상 가족 수 중 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 수는 기본공제 대상자에 해당하는 8세 이상 20세 이하의 자녀 수를 선택합니다. 따라서 8세 이상 20세 이하의 자녀이더라도 연간 소득 금액이 1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8세 이상 20세 이하의 자녀 수에서 제외됩니다. 이렇게 홈택스를 이용하시면 보다 쉽게 소득세를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소득세 계산법 및 소득세율표에 대해 포스팅을 마칩니다. 끝까지 열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