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정보26

권고사직, 자진퇴사 및 실업급여 기준 총정리! 목차 권고사직 이직일 이전 18개월간(초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24개월) 피보험 단위 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이어야 하며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영리를 목적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포함)하지 못한 상태에 있어야 합니다. 또한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해야 하고 이직 사유가 비자발적인 사유(이직 사유가 법 제58조에 따른 수급 자격의 제한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이어야 합니다. 1. 권고사직이란? 권고사직이란 사용자 측에서 근로자에게 퇴직을 권유하고 근로자가 이를 받아들여 사직서를 제출하는 형식을 통해서 근로관계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근로자가 사직서를 제출했으므로 이는 해고에 포함되지 않고 의원면직(사직)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해고제한.. 2023. 4. 12.
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기초노령연금 신청 방법 총 정리! 목차 기초연급 수급 자격 기초연금 수급 자격은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에게 최대 월 20만 원을 지급하는 것에서 시작해 매년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기준 연금액을 인상하고 있으며 단, 공무원연금과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 연금 수급권자 및 그 배우자는 원칙적으로 수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그렇다면 기초노령연금 신청은 어떻게 하는 것 일까요? 바로 알아보도록 합시다. 1. 기초연금이란? 기초연금이란 2014년 7월 노령층의 노후 소득을 보장하고 생활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기존의 기초노령연금을 확대 개편해 나온 정책입니다.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에게 최대 월 20만 원을 지급하는 것에서 시작해 매년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 2023. 4. 12.
산정특례 대상질병 및 대상자 신청혜택 총정리! 목차 산정 특례 산정 특례 대상자가 되는 대상 질병은 중증질환으로서, 암, 중증 화상, 심장이나 뇌혈관, 희귀 및 난치성 질환, 중증 외상, 중증 치매가 포함됩니다. 그 외에도 산정 특례 대상자 신청 혜택이 있는데요, 바로 알아봅시다. 1. 산정특례제도란? 산정특례제도란 '본인 일부 부담금 산정 특례'로 중증 환자 등록 시 이에 대해 환자가 부담하는 진료비를 경감해주는 제도이며, 진료비 부담이 높고 장기간 치료가 요구되는 중증질환에 적용이 됩니다. 2. 산정 특례 대상자 중증질환으로서, 암, 중증 화상, 심장이나 뇌혈관, 희귀 및 난치성 질환, 중증 외상, 중증 치매가 포함됩니다. 3. 산정 특례 혜택 중증질환자는 해당 질환으로 인한 입원, 검사, 기타 외래진료를 할 때 질환에 따라 병원비의 90%~10.. 2023. 4. 12.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및 산정방법 총 정리! 목차 건강보험료 건강보험료 산정 방법은 보수월액 보험료를 기준으로 한다면, 건강보험료 = 보수월액 X 보험료율(7.09% = 가입자 3.545% + 사용자 3.545%) 이 되며, 장기 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 X 장기 요양보험료율 0.9082% / 건강보험 요율 7.09% 이 됩니다. 1.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특징 1) 보수월액 보험료 직장가입자의 소득 능력에 따라 보험료를 부과하는 것으로 전년도 신고한 보수월액으로 보험료를 부과한 후 당해연도 보수총액을 신고받아 정산하는 방식 2) 소득월액 보험료 보수월액에 포함된 보수를 제외한 소득(보수 외 소득)이 연간 2,000만 원을 초과하는 직장가입자에게 보수 외 소득을 기준으로 소득월액 보험료 부과 - 2012년 9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연간.. 2023. 4.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