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군인연금
2022 대비 2023 병사 월급은 이병은 89,900원이 인상된 600,000원, 일병은 127,900원 인상된 680,000원, 상병은 189,800원이 인상된 800,000원, 병장은 323,900원 인상되어 1,000,000원이 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소식이 전해지는데요. 함께 알아봅시다.
1. 급여의 종류
1) 군인연금법 및 군인 재해보상 법상 지급되는 급여의 종류
2) 전역 사유별 군인연금
3) 급여의 종류
2. 병사월급
1) 역대 군인 월급
2021년 대비 2022년도에는 병장 월급이 459,100원에서 510,100원으로 11.1% 인상되었습니다.
2) 2023 병사월급 : 병장 기준 47.9% 인상
2023군인 월급 중 병사를 살펴보면 2022년 기준 이병은 510,100원, 일병은 552,100원, 상병은 610,200원, 병장은 676,100원이었으며 2023년 들어 월급 계산 시 이병은 89,900원이 인상된 600,000원, 일병은 127,900원 인상된 680,000원, 상병은 189,800원이 인상된 800,000원, 병장은 323,900원 인상되어 1,000,000원이 되었습니다.
2022년 대비하여 이병은 17.6%, 일병은 23.2%, 상병은 31.1%, 병장은 47.9%가 인상되었습니다. 또한, 앞서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병장 월급 기준 150만 원 인상된다고 말씀드렸는 데 우선 올해 100만 원에 이어 2024년에는 125만 원으로 25만 원 인상될 예정이며 병 봉급과 자산 형성 프로그램인 내일준비적금 고려 시 병장 기준 2025년 205만 원 될 예정으로 2023년에 30만 원, 2024년 40만 원, 2025년에 55만 원의 내일 준비지원금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3) 계급별 월급 계산
육군을 기준으로 하면 복무 기간이 총 18개월이며 이병은 3개월, 일병과 상병은 6개월, 병장은 3개월입니다.
육군이 복무 기간 동안 받는 봉급은 이병의 경우 600,000원을 3개월간 받을 경우 180만 원이 되고, 일병의 경우 680,000원을 6개월간 지급받으면 4,080,000원, 상병은 3,000,000원, 병장은 월 100만 원 3개월간 받으면 3,000,000원으로 육군 복무 기간 동안 받는 병사 봉급은 총 13,680,000원이 됩니다.
3. 2023 군인 월급, 장교 및 부사관 월급
1) 2023군인 봉급표
2) 병사 봉급 인상에 대한 초급 간부들의 애로사항
군인봉급표를 보시면 소위 월급의 경우 1호봉이 1,785,300원이고 하사 월급의 경우 1,770,800원, 중사 봉급은 1,821,500원입니다. 이러한 상황이다 보니 최근 병사들의 월급 이상을 놓고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는 부사관들이 국방부 장관에게 근무 여건 등의 애로사항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부사관들은 향후 병사 월급 추가 인상에 따라 부사관과 병사 간 소득에 큰 차이가 없어질 수 있다며 개선 필요성이 있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입대한 병사는 봉급과 정부 지원금을 더하여 월평균 1,215,689원, 1월 임관한 하사 1호봉은 세후 평균 2,307,650원을 받으며 하사의 월평균 소득액은 군인연금 기여금이나 초과근무수당 등을 제외한 액수입니다. 하사가 병사보다 100만 원 이상 많이 받는 액수지만 정부가 병장 봉급 150만 원과 지원금 55만 원을 약속한 이상 이 격차가 현저하게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직업으로 군인을 택해 병사보다 더 오랜 시간 군에 복무해야 하는 초급 간부들의 사기가 저하되고 지원율이 떨어져 군 인력 운영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방부에 따르면 초급 장교 등용문인 3사관학교, 학사사관(학사장교), 학군사관(ROTC)의 경쟁률이 해마다 떨어지고 있으며 3사관학교의 입교 경쟁률은 2014년 7.3 대 1에서 지난해 3.6 대 1로 감소하였습니다. 학군사관(ROTC)의 경쟁률 또한 2015년 4.8 대 1에서 지난해 2.4 대 1로 반토막이 났으며 학사사관(학사장교)경쟁률도 2013년 6.2 대 1에서 지난해 2.6 대 1로 급감하였습니다.
이상으로 군인연금, 2023 병사 월급 계산 및 군인봉급표에 대해 포스팅을 마칩니다. 끝까지 열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정특례 대상질병 및 대상자 신청혜택 총정리! (0) | 2023.04.12 |
---|---|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및 산정방법 총 정리! (0) | 2023.04.11 |
인감증명서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04.08 |
국가근로장학금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04.07 |
주거급여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총 정리! (0) | 2023.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