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청년 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및 대상, 달라진 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by 생생 꿀팁맨 2023. 4. 20.
반응형

목차

     

    청년 내일채움공제

    2023년부터는 18세 이상 만 39세 이하의 청년들이 모두 청년 내일채움공제 대상에 적용되며, 일용직 근로자도 포함됩니다. 더불어 청년들의 취업을 돕는 전반적인 지원이 가능해졌는데요, 함께 알아봅시다.

     

     

    1. 청년 내일채움공제란?

    청년 내일채움공제란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 및 경제활동 촉진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기본적으로 사회에 새롭게 진입하는 청년들이 초기에 경력을 쌓고 기업들도 인력을 원활히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2023년부터는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변경된 것들이 있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2. 지원 대상

    1) 지원 대상

    - 제조, 건설업 중소기업에서 만 15~34세의 청년이 정규직으로 신규 취업한 경우

    - 남성의 경우 군 복무기간과 연동하여 최장 39세까지 가능

     

    2) 지원 제외 대상

    - 청년 공제에 이미 가입한 사람

    - 월 급여총액이 300만원을 초과하는 사람

    - 사업주의 배우자나 자녀인 경우

    - 외국인

     

     

    3. 지원 대상 기업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5인 이상 ~ 50인 미만의 제조, 건설업종 중소기업으로, 이들 중 정규직으로 청년을 채용한 기업들이 지원 대상이 됩니다.

     

     

    4. 청년 내일채움공제 적립금

    1) 적립금

    이번 정책에서는 청년과 기업, 정부 3자가 각각 적립금을 내고, 만기(2)가 되면 청년은 1,200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적립금은 청년 2년간 400만원, 기업 2년간 400만원, 정부 2년간 400만원을 각각 적립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년 입장에서는 2년간 4백만원을 내고, 1,200만원+이자를 수령할 수 있는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는 청년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하며, 나아가 미래에 대한 안정적인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함께, 기업들은 청년 채용 시 부담이 될 수 있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정부는 청년들의 경제활동 및 자립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국가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만기 시 지급

    청년들은 24개월 이상 장기간 근무한 경우 공제금 지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최대 1,200만원 및 이자를 수령할 수 있으며, 공제금리는 중소기업 세부 운영 규정에 따라 다릅니다.

     

    이 정책은 청년 입장에서 보면 2년간 400만원을 투자하여 300% 이상의 수익을 볼 수 있는 아주 유익한 투자입니다. 물론 제조, 건설업종 외 다른 업종의 청년들은 이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아쉬운 부분은 있습니다. 그러나 자격 조건을 충족한 청년들은 꼭 가입하여 혜택을 받도록 해야 합니다.

     

     

    5. 신청 방법

    워크넷 청년 공제 홈페이지를 방문해 신청하시면 됩니다. 기업이 먼저 워크넷에 참여 신청을 한 후, 청년이 참여신청서를 작성하면 됩니다. 청년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정규직 취업 후 6개월 이내에 신청을 마감해야 합니다. 청약 가입 기간은 2023년 12월 말까지이며, 접수 및 심사는 최대 14일 이내에 완료됩니다. 놓치지 않고 기간 내에 신청하시고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청년 내일채움공제 신청 방법 및 달라진 점에 대해 포스팅을 마칩니다. 끝까지 열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